본문 바로가기

Vol. 22

INSIDE

[오늘의 헌책] 뿌리 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

리스트456456.jpg

 

 

오늘의 헌책 : 기록

 

미처 발견하지 못한 채 서울책보고 서가 한구석에 오랫동안 숨어있던 헌책,

그 쓸모와 오늘의 트렌드를 연결하는 시간

 

 *

뿌리 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 

<샘이 깊은 물> 일천구백팔십오년 구월호, 뿌리깊은나무

 

 

 

한국 잡지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두 개의 잡지가 있다면 아마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일 거예요. ‘뿌리 깊은 나무’라고 하면 누군가는 배우 한석규와 장혁, 신세경이 출연한 2011년작 드라마를 떠올릴 수도 있지만요.Emotion Icon 잡지 <뿌리 깊은 나무>는 1976년에 창간한 종합교양지로 한국 고유의 문화를 새로운 편집에 담아 주제와 디자인 면에서 한국 잡지의 새로운 장을 연 잡지라고 볼 수 있어요. 1980년 신군부에 의해 폐간될 때까지 모두 52권의 잡지가 발행되었답니다.  


그 <뿌리 깊은 나무>의 자매지 격인 <샘이 깊은 물>은 1984년 11월부터 2001년 11월까지 역시 품격 있는 문화 잡지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해요. 저희 서울책보고에도 <뿌리 깊은 나무>를 찾는 헌책 마니아 분들이 많으신데요. 영인본이든 단권이든 서울책보고에 입고하면 며칠 사이에 바로 찾아가신답니다. 그런데 아직 <샘이 깊은 물>의 존재를 잘 모르시는 것 같아서 이번 ‘오늘의 헌책’에 가져와 봤습니다. 이 잡지 또한 #기록 의 의미에 잘 부합하는 잡지 중 한 권이기 때문이죠! 과연 이 잡지는 누구의 어떤 삶을 기록했을까요?



KakaoTalk_20221222_111715329.jpg


당시 <샘이 깊은 물>의 앞표지는 파격적이었어요. 평범한 일반(!) 여성을 앞표지에 내세웠기 때문이죠. 메이크업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얼굴과 표정은 오히려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어요.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뭔가 자꾸 눈길이 가지 않나요? 표지에서 볼 수 있듯 <샘이 깊은 물>은 동시대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기록으로 남겨두었습니다. 표지 인물은 누구인지 한 번 같이 볼까요?       



KakaoTalk_20221222_111715329_03.jpg


표지 인물인 홍성주 씨는 무려 (잡지 발행 연도 기준) 지난해 2월에 대학을 졸업한 다음 3월에 결혼하고, 올해 4월에 자녀를 출산했습니다. 1980년대 초중반의 문화 속에서 여성들은 대학을 졸업하고 20대 중반이 채 되기도 전에 결혼했던 것일까요? 거기에 토목 기사인 남편은 올해 정월에 사우디로 떠나셨다고 합니다. (!!!) 그래서 4월에 자녀를 출산할 때 혼자였다는 이야기가 조금은 놀랍기도 한데 홍성주 씨는 단단한 표정으로 잡지의 표지를 채우고 있네요. 표지 인물 소개에 담긴 짧은 글에서도 당시 문화를 살짝 들여다볼 수 있었습니다.    



KakaoTalk_20221222_115539829.jpg


목차만 살펴봐도 잡지 콘텐츠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런 음식 한 가지

잘 입은 한복

잘 입은 양장

볼 만한 집치레


등등. 주로 당시 여성들이 만들고, 입었고, 꾸몄던 삶의 내용이 잡지에 담겨 있습니다. 하나하나 사진 중심으로 살펴볼까요?  



KakaoTalk_20221222_115539829_01.jpg


이런 음식 한 가지_섭산적



[꾸미기]KakaoTalk_20221222_111715329_08.jpg


잘 입은 한복_박씨 부인의 추석빔



KakaoTalk_20221222_111715329_09.jpg


잘 입은 양장_이은주 씨의 초가을 정장



KakaoTalk_20221222_115539829_04.jpg


불 만한 집치레_사 정숙 씨집의 바느질방


 

 

화보 중심으로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보는 콘텐츠 외에도 여성의 삶을 르포르타주 형식으로 기록한 소설가와 기자의 글도 있습니다. 



KakaoTalk_20221222_111715329_04.jpg


여자가 움직이는 농촌, 윤정모/소설가 



KakaoTalk_20221222_111715329_06.jpg


지리산에서 만난 여자, 최화수/부산일보 문화부 기자 


 

<샘이 깊은 물> 편집장님이 직접 취재한 소중한 기록도 있습니다. 암 선고를 받은 노년 여성 “할머니” 최을경 씨 이야기입니다. “싸늘하게 탈속한 사람이 아니라 사는 데에 전력투구한다는 것이 얼마나 고달픈 일인지를 아는 사람”의 이야기라뇨. 1980년대 중반을 묵묵히 자기만의 리듬으로 건너가는 무명의 노년 여성 이야기가 잡지에 실려있다는 건, <샘이 깊은 물>이라는 잡지가 가진 격을 보여줍니다. 



KakaoTalk_20221222_115539829_05.jpg


 

 

평생토록 못 잊을 일을 가진 여성을 만나는 기쁨도 있습니다. 


“내가 좋아 잘 그리는 게 한 이십 가진데, 

우선 사군자가 있고, 매, 난, 국, 죽이죠. 

목련, 능수화, 백합 또 등나무도 있고, 

모란, 연, 장미, 소나무, 버들, 개나리, 이렇게 꽃을 많이 그리죠. 

산수도 좀 하고. 그림이 잘 나왔다 싶을려면 생동도 있고 

획이 말라도 안 되고 단단하면서 운치도 있고 그래야죠. 

나는 밤에는 안 그려요. 

대개 아침절에 한두 시간 그리고 나면 개운하죠. 

오늘 일을 다 했다 싶기도 하구.”


 

KakaoTalk_20221222_115539829_06.jpg

 

 

숨은 한학자이자 서화가인 오귀숙 선생님 이야기도 <샘이 깊은 물> 같은 잡지가 아니라면 누가 기록해두었을까요? 

 

 

KakaoTalk_20221222_111715329_13.jpg

 

 

<샘이 깊은 물>을 만든 한창기 발행인은 원래 한국브리태니커회사의 창업자입니다. 잡지에 실린 이런 광고가 낯설지만은 않습니다. 바로 브리태니커 판소리, 팔도소리 시리즈! ‘브리태니커’라는 이국적인 출판사 이름과 ‘판소리’ 혹은 ‘팔도소리’ 시리즈의 조합이 참신합니다. “한국의 자랑 정 경화 부인이 먼 데서나마 꼭 보고 듣는 한국의 땅과 소리”라는 광고 문구도 흥미롭습니다. 무엇보다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로 구현한 한창기 발행인의 전통문화 사랑도 놀랍고요.



KakaoTalk_20221222_111715329_14.jpg


 

편집위원과 편집자에 더해 미술 편집위원과 사진 편집위원이 따로 있을 정도로 기사뿐 아니라 디자인과 사진에도 진심이었던 <샘이 깊은 물>. 사진 편집위원에 보이는, 한국 다큐사진계의 대가 강운구 선생님 이름도 반갑습니다. Emotion Icon


1970년대부터 80년대를 지나 90년대까지, 우리의 전통 문화와 일상인들의 삶을 기록한 이런 잡지가 있다는 것이 문득 고맙게 느껴집니다. 이런 기록물이 아니었다면 우리는 이 땅에 살아온 사람들이 가꿔온 문화와 삶의 이야기를 쉽게 잊어버리고 말았을 테니까요.

 

 

 

 

 

   

섬네일 : 드라마<뿌리 깊은 나무>(2011) © SBS방송 홈페이지 https://programs.sbs.co.kr/drama/rootedtree/about/53712